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2회)

작성자, 등록일 , 조회수 내용이 수록된 표
작성자 서울노동권익센터 등록일 2022.07.26
조회수 353
서울노동권익센터 인포그래픽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2회) 서울지역의 청년 실업자 및 취업자, 기혼여성 비취업자 및 경력단절, 노인 취업자 산업 및 직업, 장애인 구직자 및 취업자에 대한 인포그래픽입니다.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2회) 1. 코로나19 이후 청년(15-29세) 실업자, 취업자는 동시 증가, 회복세 전망    : 비경제활동으로 분류되었던 구직단념자 등이 경기가 회복되면서 구직활동을 함에 따라 경제활동인구로 재분류된 가운데, 이들이 취업하기 보다는 아직 실업자로 남아있기 때문임  실업자는 9만 명으로 전년대비 5천명 증가, 실업률은 9.0%로 전년대비 0.1%p 감소 취업자는 90만 4천명으로 전년대비 5만 7천명 증가, 고용률은 50.5%로 전년대비 3.9%p 증가 각주: 청년 실업률(%) = (15~29세 실업자 수 ÷ 15~29세 경제활동인구) × 100       청년 고용률(%) = (15~29세 취업자 수 ÷ 15~29세 인구수) × 100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3-2021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2회) 2. 코로나19 이후 기혼여성 경력단절 비율 16.7%, 하락추세 반등   기혼여성 비취업자 수는 56만 5천명으로 전년대비 8만 명 감소, 비취업률은 39.6% 경력단절 여성은 23만 9천명으로 전년대비 8천명 증가, 경력단절 비율은 16.7%로 전년대비 1.3%p 증가. 각주: 기혼여성 비취업률(%) = (비취업 기혼여성 ÷ 15~54세 기혼여성 인구) × 100       기혼여성 경력단절 비율(%) = (경력단절 기혼여성 ÷ 15~54세 기혼여성 인구) × 100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서울시 경력단절여성 통계, 2013-2021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2회) 3. 65세 이상 고령 취업자는 사업시설 관리 서비스업, 단순노무 종사자 비중이 높음 산업분류로는 사업시설, 사업 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종사자 14.05%로 가장 높아. 직업분류로는 단순노무 종사자 비중이 45.66%로 가장 높음.  각주: 이외 고령 취업자 산업 비중은 교육서비스업 4.0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3.08%, 가구 내 소비생산활동 2.38%, 금융 및 보험업 1.62% 등 출처: 고용노동부, 지역별 고용조사 2020년 상,하반기(A형) 가중치 적용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2회) 4. 장애인 구직자, 취업자, 취업률 모두 증가 추세. 장애인 구직자 수는 2천 6백명, 취업자 수는 2천 2백명으로 장애인 취업률은 84.9%. 각주: 취업률 = 취업자수/구직자수*100 출처: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서울시 장애인 취업 통계, 2013-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