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3회)

작성자, 등록일 , 조회수 내용이 수록된 표
작성자 서울노동권익센터 등록일 2022.08.24
조회수 527
서울노동권익센터 인포그래픽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3회) 서울지역의 임금불평등,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 종사상지위별 임금, 산업 및 직업별 임금에 대한 인포그래픽입니다.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3회) 02. 임금불평등. 서울지역 임금불평등 지수는 전국 17개 시도 중 5위. (설명)지니계수는 임금불평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분배지표로 0에서 1사이의 값을 갖는데, 소득분배가 완전평등한 경우 0의 값을, 완전불평등한 경우 1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도가 높아짐을 의미함.  마포, 서초, 용산, 양천, 강남 순으로 임금불평등 지수 높음. 금천, 중랑, 관악, 영등포, 구로, 동대문, 강북순으로 임금불평등지수 낮음. 전국대비 서울전체, 서울 자치구별 임금불평등도 지니계수(Gini). 출처: 통계청 (2021 지역별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 시군구 대분류)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3회) 02.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 서울시 2021년 최저임금 8,720원 기준 서울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 수는 37만 4천명. 청년 노동자 11만 3천명(9%), 임시 및 일용직 노동자 24만 8천명(28.10%), 여성노동자 22만 8천명(12.45%),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13만 6천명(9.62%), 노인노동자 8만 3천명.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는 전체 노동자 중 9.58%(35.41%)임.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 수 및 비율 그래프. 자치구별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 그래프. 자치구별 최저임금 미만 노동자 분포도 출처: 통계청 2021 지역별고용조사 상하반기(A형 시군구대분류)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3회) 03. 종사상지위별 임금. 임금근로자 시간당임금 평균(가중치 적용) 임시 및 일용직 노동자 시간당 임금 1만 2천원(상용직 노동자의 약 58%). 5인 미만 사업장 시간당 임금 1만 3천원(300인 이상보다 14,297원 적음). 종사상지위별 시간당임금 그래프. 사업장 규모별 시간당임금 그래프 (출처: 통계청 2021 지역별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 시군구 대분류)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3회) 04. 산업 및 직업별 임금. (출처: 통계청, 2021 지역별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 시군구 대분류) 산업별 임금. 금융 및 보험업 28,598원,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24,883원,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24,164원, 국제 및 외국기관 23,406원, 정보통신업 22,825원, 교육서비스업 20,416원, 제조업 20,010원, 운수업 19,137원,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9,133으ㅏㄴ, 건설업 18,550원, 도매 및 소매업 17,233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6,483원, 예술스포츠 15,435원, 협회단체, 수리 및 개인서비스 14,839원, 부동산업 14,804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13,632원, 광업 13,010원, 농원, 임원 및 어업 12,094원, 숙박 및 음식점업 11,431원. 직업별 임금 그래프. 관리자 42,382원,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23,792원, 사무종사자 20,930원, 농림, 어업 숙련종사자 16,395원,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15,294원,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 15,015원, 판매종사자 14,607원, 서비스종사자 23,281원, 단순노무종사자 10,733원. (출처: 통계청, 2021 지역별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 시군구 대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