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4회)

작성자, 등록일 , 조회수 내용이 수록된 표
작성자 서울노동권익센터 등록일 2022.08.24
조회수 255
서울노동권익센터 인포그래픽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4회) 서울지역의 임시, 일용직 근로자, 1인 자영업자, 초단시간 근로자, 장시간 근로자에 대한 인포그래픽입니다.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4회) 01. 임시 및 일용직 근로자. 건설업, 숙박, 음식점업 비율 높게 나타나. 전기 가스업, 전문기술 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비율 낮게 나타나. 사업서비스업, 부동산업, 수도, 폐기물처리업 임시 및 일용직 임금지수 높게 나타나. 공공행정, 보건, 사회복지업, 교육서비스업 낮게 나타나. 임시일용직의 상용직 대비 임금지수 / 전체 임금근로자 중 임시 및 일용직 비율 그래프. 각주: 임시 및 일용직의 상용직 대비 임금지수-임시 및 일용직 평균임금/상용직 평균임금(=100). 출처: 통계청, 2021년 지역별 고용조사(상/하반기, A형)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4회) 02. 1인 자영업자. 비임금근로자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294,446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513,603명, 무급가족종사자 72,282명. 비임금근로자 중 무급가족종사자 비율(%) 제조업 14.8%, 숙박 및 음식점업 19.4%, 도소매업 10.5%, 사업서비스업 7.8%, 부동산업 6.7%.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1인 자영업자 비율(%) 운수, 창고업 91.5%, 예술 및 여가서비스업 77.6%, 개인서비스업 74.2%, 교육서비스업 72.8%, 정보통신업 72.7%, 부동산업 67.6, 건설업 60.1%, 도소매업 55.3%, 사업서비스업 54.1%, 금융 및 보험업 50.7%, 전문 및 기술서비스업 50.5%, 제조업 40.7%, 숙박 및 음식점업 36.4%, 보건 및 사회복지업 11.0% (출처: 통계청, 2021년 지역별 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4회) 03. 초단시간 근로자. 단시간 근로자는 임금근로자 중 주당 주업 근로시간이 36시간 미만인 근로자이며 117만 3천명(28.2%). 초단시간 근로자는 임금근로자 중 주당 주업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 18만 6천명(4.5%). 초단시간근로자는 여성,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높게 나타남. 초단시간 근로자 비율은 가구내 고용활동이 13.0%로 가장 높고. 2위는 교육서비스업으로 12.1%. (출처: 통계청, 2021년 지역별 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4회) 04. 장시간 근로자. 장시간근로자는 임금근로자 중 주당 총 근로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자이며 이중 조 48시간 초과 66ㅏㄴ 9천명(16.1%), 주 52시간 초과 32만 2천명(7.8%), 주 60시간 초과 18만 3천명(4.4%). 장시간근로자는 남성, 50~64세 장년 비율이 높게 나타나. 장시간 근로자 1위 운수 및 창고업 27.2%로 가장 높으며 2위는 건설업은 25.5%. (출처: 통계청 2021년 지역별 고용조사 상하반기 A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