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5회)

작성자, 등록일 , 조회수 내용이 수록된 표
작성자 서울노동권익센터 등록일 2022.08.25
조회수 326
서울노동권익센터 인포그래픽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5회) 노동환경 위험요인, 노동강도,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인포그래픽입니다.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5회) 01. 노동환경 위험요인. 남성이 여성보다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되어 있으며, 여성은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각주: 근무시간의 1/4이상을 해당요인에 노출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환경 위험 노출 요인은 는 진동, 소음, 고온, 저온이며 이중 진동 17.5%, 소음 10.5%이 가장 높아 /생물·화학적 위험 노출 요인은 분진, 유기용제, 간접흡연, 감염물질이며 이중 분진 8.2%로 가장 높아/ 인간공학적 위험 노출 요인은 통증자세, 사람이동, 중량물취급, 반복동작이며, 이중 반복동작 55.9%이 가장 높게 응답. 출처: 안전보건공단, 2020년 제6차 근로환경조사.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5회) 02. 노동 강도. 노동강도는 ① 일의 양적 요구 경험 비율(%), ② 작업속도의 결정 요일(a상사의 직접적인 관리 및 감독/ b.고객, 승객, 학생, 환자 등의 사람들의 직접적 요구/c, 수치화된 생산 목표나 성과목표/ d. 자동화 라인 속도 또는 제품의 이동속도/ e. 동료가 수행한 업무) 이 3개 이상 해당 비율(%), ③감정노동경험 비율(%) 입니다. 육체적인 일의 양은 운수창고업(빠른 속도 32.8%, 시간부족 29.8%, 마감 시간 38.6%)/ 작업속도 결정은 전문기술서비스업 20.2%, 감정노동 강도는 보건복지서비스업 분야가 51.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출처: 안전보건공단, 2020년 제6차 근로환경조사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5회) 03. 사회적 환경. 반사회적 행동_정신적 폭력은 업무 수행 중 언어 폭력 피해 경험이 4.9%로 가장 높아. 지난 1달 동안 경험(단위: %). 반사회적 행동_차별적 대우는 지난 1년 동안 경험(단위:%) 중 연령 차별 대우 경험이 3.5% 가장 높아. 반사회적 행동_물리적 폭력은 지난 1년 동안 경험(단위 %)중 업무 수행 중 성희롱 피해 경험 0.4%로 가장 높아. 사회적지지는 작업상황에서 동료들은 나를 도와주고 지지해준다는 인식이 66.2%. 출처: 안전보건공단, 2020년 제6차 근로환경조사
2022 한눈에 보는 서울지역 취약노동자 (5회) 04.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좋음'으로 응답한 경우 사무 종사자 81.7%, 전문가 80.7%. 건강상의 문제와 업무상 관련 요통이라고 응답한 분야는 기능 종사자 67.5%로 가장 높아. 근육통은 장치 및 기계 종사자 52.0%가 가장 높게 나타나. 수면장애 경험 관리자 36.7%, 장치 및 기계 종사자 36.5%. 출처: 안전보건공단, 2020년 제6차 근로환경조사 ·